CodingTest/Baekjoon

[백준/Python] 2563번 : 색종이

JuniTech 2023. 5. 29. 09:00
728x90
 

2563번: 색종이

첫째 줄에 색종이의 수가 주어진다. 이어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색종이를 붙인 위치가 주어진다. 색종이를 붙인 위치는 두 개의 자연수로 주어지는데 첫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왼쪽 변

www.acmicpc.net

시간 제한  메모리 제한 문제 티어 정답 비율
1 초 128 MB
실버 V
67.288%

📜 문제

가로,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0인 정사각형 모양의 흰색 도화지가 있다. 이 도화지 위에 가로,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인 정사각형 모양의 검은색 색종이를 색종이의 변과 도화지의 변이 평행하도록 붙인다. 이러한 방식으로 색종이를 한 장 또는 여러 장 붙인 후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 

예를 들어 흰색 도화지 위에 세 장의 검은색 색종이를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붙였다면 검은색 영역의 넓이는 260이 된다.

 

📥입력

첫째 줄에 색종이의 수가 주어진다. 이어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색종이를 붙인 위치가 주어진다. 색종이를 붙인 위치는 두 개의 자연수로 주어지는데 첫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왼쪽 변과 도화지의 왼쪽 변 사이의 거리이고, 두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아래쪽 변과 도화지의 아래쪽 변 사이의 거리이다. 색종이의 수는 100 이하이며, 색종이가 도화지 밖으로 나가는 경우는 없다

 

📤출력

첫째 줄에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출력한다.

 

💡풀이

먼저 0이 100개 들어있는 배열 [0, 0, 0, .... , 0] 을 100개 생성하여 drawing_paper 변수에 저장한다. => 빈 도화지 생성
 

 그 다음에 입력할 횟수를 입력하고, x, y를 입력한다. x, y는 각각 색종이의 왼쪽 변과 도화지의 왼쪽 변 사이의 거리, 색종이의 아래쪽 변과 도화지의 아래쪽 변 사이의 거리이다.

정사각형의 넓이는 무조건 100이기 때문에, x와 y를 기준으로 각각 10만큼 반복하여 해당 배열 인덱스에 1을 넣는 식으로 코드를 작성했다. 참고로 도화지도 정사각형이고, 색종이도 정사각형이기 때문에 drawing_paper[i][j] = 1 은 drawing_paper[j][i] = 1로 해도 같은 결과가 나올 것이다. 이렇게 배열로 요소들을 0으로 초기화 한 다음, 1로 바꾸어주면 중복되는 부분도 알아서 깔끔하게 해결해줄 것이다.

마지막으로 반복문과 sum() 함수를 사용해 배열 안에 들어있는 모든 숫자를 합하면 총 색종이 넓이가 나올 것이다. 

아래의 코드는 내가 작성한 정답 코드이다.

import sys

input = sys.stdin.readline

drawing_paper = [[0] * 100 for _ in range(100)]

n = int(input())

for _ in range(n):
  x, y = map(int, input().rstrip().split())
  for i in range(x, x + 10):
    for j in range(y, y + 10):
      drawing_paper[i][j] = 1

area = 0

for i in drawing_paper:    # -- 첫 번째 방법
  area += sum(i)

print(area)

 

위에 적혀있는 첫 번째 방법 말고 아래와 같이 두 번째 방법인 count 메소드를 이용하여 카운트하는 식으로 코드 작성을 해도 된다. 

for i in range(100):
  area += drawing_paper[i].count(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