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dingTest/Baekjoon

[백준/Python] 1269번 : 대칭 차집합

JuniTech 2023. 6. 13. 09:00
728x90
 

1269번: 대칭 차집합

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,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

www.acmicpc.net

시간 제한  메모리 제한 문제 티어
2 초 256 MB
실버 IV

📜 문제

자연수를 원소로 갖는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A와 B가 있다. 이때, 두 집합의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, (A-B)와 (B-A)의 합집합을 A와 B의 대칭 차집합이라고 한다.

예를 들어, A = { 1, 2, 4 } 이고, B = { 2, 3, 4, 5, 6 } 라고 할 때,  A-B = { 1 } 이고, B-A = { 3, 5, 6 } 이므로,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1 + 3 = 4개이다.

 

📥입력

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,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진다.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200,000을 넘지 않으며, 모든 원소의 값은 100,000,000을 넘지 않는다.

 

📤출력

첫째 줄에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한다.

 

💡풀이

이 문제는 Python의 Set()와 A와 B의 차집합를 구하는 A - B (or B - A) 또는 A.difference(B) (or B.difference(A)) 를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.
 
다음은 내가 작성한 정답 코드이다.
 
import sys

input = sys.stdin.readline

A_num, B_num = map(int, input().rstrip().split())

A = set(map(int, input().rstrip().split()))
B = set(map(int, input().rstrip().split()))

print(len(A-B) + len(B-A))

 

Reference : https://wikidocs.net/1015

 

02-6 집합 자료형

`[추천 동영상 강의]` : 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sAtYHnovUA]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sAtY…

wikidocs.net